IT

NAS, DAS, SAN: 스토리지의 세 가지 축을 이해하자

초코너무조코 2025. 5. 8. 15:43
728x90

현대의 IT 인프라에서 데이터 저장은 단순한 하드디스크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스토리지의 선택은 성능, 확장성,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스토리지 아키텍처인 NAS, DAS, SAN의 개념과 차이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


1. DAS (Direct Attached Storage): 직접 연결 스토리지

개념

DAS는 서버나 컴퓨터에 직접 연결된 저장장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내 컴퓨터에 연결된 SSD, 외장하드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특징

  • 속도: 로컬 연결이기 때문에 빠른 I/O 속도 제공
  • 설치 용이성: 간단한 설치, 별도 네트워크 필요 없음
  • 확장성 부족: 장비 하나에만 연결되므로 여러 시스템과 공유 어려움

사용 예

  • 소규모 서버
  • 개인용 백업
  • 고속 작업이 필요한 로컬 환경

2.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

개념

NAS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하는 파일 저장 서버입니다. 사용자나 서버들이 파일 공유를 위해 NAS 장치에 접근합니다.

특징

  • 파일 단위 접근: SMB, NFS 등 파일 공유 프로토콜 사용
  • 손쉬운 공유: 여러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에 접근 가능
  • 중앙 집중식 관리: 사용자 권한, 백업 등 통합 관리 가능

사용 예

  • 사내 파일 공유 서버
  • CCTV 영상 저장
  • 원격 백업 솔루션

3. SAN (Storage Area Network):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크

개념

SAN은 스토리지를 위해 별도로 구성된 고속 네트워크입니다. 서버들은 SAN을 통해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특징

  • 블록 단위 접근: 고성능 I/O 제공
  • 높은 확장성: 여러 서버와 스토리지를 자유롭게 구성
  • 복잡한 구성: 전용 스위치, 프로토콜(Fibre Channel 등) 필요

사용 예

  • 대규모 데이터센터
  •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 가상화 환경 (VMware 등)

4. NAS vs DAS vs SAN 요약 비교

항목 DAS NAS SAN
연결 방식 직접 연결 네트워크 (이더넷) 전용 네트워크 (FC, iSCSI 등)
접근 방식 블록 파일 블록
성능 빠름 (로컬 기준) 중간 매우 빠름
확장성 낮음 중간 높음
사용 환경 개인, 소규모 서버 사내 파일 공유, 백업 대규모 시스템, 데이터센터

마무리

DAS, NAS, SAN은 각각의 용도와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야 합니다. 소규모 환경에서는 DAS로 충분할 수 있지만, 데이터가 많아지고 사용자 수가 증가한다면 NAS나 SAN과 같은 확장 가능하고 관리 가능한 스토리지 솔루션이 필요해집니다.
자신의 환경과 요구사항을 고려해 가장 적절한 스토리지 시스템을 선택해보세요.


 

728x90